An article in Science Times

옷, 모자가 미디어 예술로

With the title, ‘Clothing, hats transform into media art…,’ an article regarding Younghui’s Solo Exhibition ‘RUNNING’ has been published at

http://www.sciencetimes.co.kr/?news=옷-모자가-미디어-예술로

 

It was a pleasant surprise for me to meet the reporter, Younhee Kim from the Science Times who discovered my exhibition via internet.  We had a great conversation (interview) and the result is in the article.  The article is in Korean.

김영희 작가의 ‘러닝(RUNNING)’이라는 웨어러블 미디어아트(wearable media art) 전시회가 갤러리 자작나무 사간점에서 이달 29일까지 열린다.

웨어러블 미디어아트는 말 그대로 옷이나 모자 등에 새로운 플랫폼을 개발해 콘텐츠를 넣는 예술이다. 쉽게 설명하자면 사람의 신체리듬, 습도, 온도, 제스처. 기물에 부딪힘 등을 컴퓨터 작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센서, 테크놀로지 자재를 이용해 시각화하거나 옷으로서 표현해내는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웨어러블 미디어아트는 대부분 퍼포먼스를 위해 만들어진 작품이다. 고개를 갸웃거리나 움직일 때 모자가 그 움직임에 따라 물처럼 움직이며 빛을 내며 시각화된다. 즉, 모자를 써야만 웨어러블 미디어아트는 작동이 되는 셈이다. 그래서 관객들은 보기에 아름답고 신기할 뿐 작품 뒤에서 어떤 기술들이 작동되는지 알 수 없다.

‘웨어러블’ 미디어아트의 해체와 재구성된 전시회

이번 전시회 ‘러닝’은 바로 관객들에게 이런 부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작품을 해체해서 하나의 작품으로 만들어 노출시켜 액자에 넣어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웨어러블 미디어아트를 다시 분리해내서 미적으로 다시 재구성해 전시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전시 작품과 관련 있는 웨어러블 미디어아트 영상을 보여주고 있어 좀 더 작품이 친숙하게 다가온다.

이번 전시회의 주제 ‘러닝’ 또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프로젝트를 미디어아트 작품을, 퍼포먼스 등을 ‘러닝’해야 하는 웨어러블 미디어아트의 특성을 압축해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아주 동 떨어진 분야처럼 느껴지는 기술과 예술이 얼마나 잘 어우러지는지를 드러내고 있어 기술과 예술의 융합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more …>>>

 

Exhibition, [ ACROSS ] at HOMA

Media Art Group Exhibition, [ ACROSS ] 

2013.July 5th – July 21st, at HOMA (Hongik University Museum of Modern Art)

Younghui Kim is having a group exhibition with 4 other artists(Romy Achituv, Dan Mikesell, Dongsoo Suh, Jaemin Lee) who are also her colleagues at the WCU Digital Media Public Art Research Lab.

She is displaying her current three art works, ‘RUNNING! 달려라 영희!’ ‘A Moment 순간’ ‘Body Graffiti in Trio.’

RUNNING! 달려라 영희, EL드로잉 설치, 2013
RUNNING! 달려라 영희, EL Drawing Installation by Younghui Kim, 2013

RUNNING! 125 x 147 x 65 cm, EL sheets, electronics

A Characterized figure that looks like a common running icon on the exit and entrance signs in cities are drawn using thin EL (Electroluminescent) sheets.  This electronic drawing is installed where two sides of walls and a celling meet.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visitor, it will look distorted or right.  When it is dark, the running girl icon is reflected all around, running toward all directions.

A moment 순간 by Younghui Kim in collaboration with Dan Mikesell (motor,) 2013

A MOMEMENT 순간 150 x 155 x 250 cm, white birch wood, mdf, motors, micro-controller, electronics

How long does a moment appear to you?  ‘A Moment’ is a kinetic display using a POV(Persistence of Vision) display and it swings like a pendulum while displaying an ephemeral message.

관련기사 – article: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venice87&logNo=120193661739

Solo Exhibition [ RUNNING ] 2013.6.15-6.29

Younghui is having a media art solo exhibition following two weeks at Gallery White Birch. (갤러리 자작나무, 사간점)

RUNNING -Demystifying Wearable Media Art
Solo Exhibition of Younghui Kim
2013.6.15 ~ 6.29

오프닝 리셉션 2013.6.15 (Sat) 5 pm
자작나무 갤러리
http://www.galleryjjnamu.com/main.asp

being reflected on another artwork, 'Light RUNNING'
art installation ‘RUNNING’ being reflected on another artwork, ‘Light RUNNING’

Exhibition Abstract:

‘RUNNING’

We are “RUNNING” computer software.
We are “RUNNING” projects.
We are “RUNNING” businesses.
We are “RUNNING” media art or “RUNNING” wearable performances.

We are not physically running sometimes but, we are running a lot. Actually, we run everyday. Are we looking for an exit? or Entrance? Are we running for the new beginning? the new end? There are more times when we are not sure why we are running but, we can see ourselves runnings reflected in every corners of the city.

‘RUNNING’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RUNNING”한다.
프로젝트를 “RUNNING” 한다.
사업을 “RUNNING”한다.
미디어아트작품들을 “RUNNING” 한다.
웨어러블퍼포먼스를 “RUNNING” 한다.
실제 몸으로 달리지는 않지만 우리는 많은 것을 “RUNNING” 하고있다.

이렇게 우리는 매일 달린다. 출구를 찾아서? 입구를 찾아서? 새로운 시작과 끝을 향해? 우리는 무엇을 향해 그렇게 달리고 있는지 알 수없는 경우가 더 많지만 우리가 달리는 모습이 도시 이곳 저곳에서 반영되고 있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Demystifying Wearable Media Art

Younghui Kim (김영희)는 뉴욕에서 90년대 중반에 인터랙티브미디어영상작업을 시작하였으며, 지난 10년간 웨어러블을 미디어플랫폼으로 작품활동을 해왔다. 그의 작품들은 예술과 기술이 혼합되어 여러 형태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그러하기에 그의 미디어아트 창작물은 여행처럼 긴 작업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먼 여정의 도착지를 가기 위해서 여러 개의 작은 마을을 거치듯이 작가가 하나의 작품을 완성하기까지 여러 버전의 과정을 거친다. 본 전시에서 작가는 대중이 쉽게 알 수없는 미디어작품의 창작과정을 해체하여 하나 하나씩 작품으로 선보인다. 웨어러블 미디어 아트작품들은 영상으로 스크린에 프로젝션된다.
running_postcard_frontrunning_postcard_back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