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a part of the Platform Live Arts Program 2018, Marie Younghui Kim will have an exhibition titled, “The Sense of Data – Seoul 2018” at Platform-L Contemporary Art Center, Seoul, South Korea.
THE SENSE OF DATA BY YOUNGHUI KIM @ Platform-L
Opening Reception: Nov 7th, 2018, 7 pm
Exhibition Date: Nov 7 – Nov 17, 2018 11 am – 8 pm
Venue: The Machine Room at Plaform-L Contemporary Art Center
Ticket: Free
This exhibition is a part of her research “Artistic Exploration of Data Through Creative Practice” and supported by Platform-L and QUT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The Sense of Data> series is the third data art series following series of<Weight of Data 2016-8> and <mood.cloud-Data as Art 2014>. In the age of Big Data where our action, decisions and opinions appear to be digitally traced and hyper-connected in many digitally saturated societies, the artist questions about how our everyday lives are expressed and influenced through data. In this series, artist visualizes the live data of selfies related emotions and thoughts exposed in social media into bold graphic pattern along with colourful lights embedded in wearable; visualizes through an algorithm that uses Seoul City’s Open Datasets combined with the sensor-collected data to let data breath through wearable; and plays with the idea of her personal outliers that are leftover or unnoticed. Through this series, the artist begins to explore outliers of data through her art practice and aims to expand the use of real-time data as art material for conceptual art practice.
Technical support by datacook.org (Kazan Kang, Samuel An)
전시명 The Sense of Data 더 센스 오브 데이터
작가명 Younghui Kim 김영희
일시 11월7일 – 11월 17일 11 am –8 pm
장소 플랫폼엘 머신룸
티켓 무료 관람
<The Sense of Data – Seoul 2018> 시리즈는 2014년도에 창작된 <mood.cloud-Data as Art>와 2016-2018년에 전시된 <Weight of Data>를 잇는 세번째 데이터 아트 시리즈로 초연결시대 삶의 흔적인 데이터를 통해 분석되고 예측되는 현대인들의 일상이 데이터에 의해 표현되고 영향을 받게 되는 현상에 대하여 질문을 던지기 시작한다. 이번 시리즈는 소셜미디어에 노출되고 있는 셀피 속 라이브한 감정과 생각을 분석하여 볼드 한 그래픽과 추상적 빛으로 시각화한 작품과 서울시 오픈데이터와 센서로 측정되는 환경데이터를 작가가 생각한 알고리즘에 따라 리얼타임으로 호흡하는 웨어러블 작품, 그리고 데이터 분석과 해석에서 버려지고 무시될 수 있는 소수의 의미를 찾아 고민한 작품을 선보인다. 김영희 작가는 이번 시리즈를 계기로 데이터 분석에서 무시되어지는 소수의 의미인 데이터 아웃라이어에 대한 예술적 이해와 탐구를 시작했으며 이러한 데이터 속 아웃라이어의 사회적 의미를 예술적 영역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 본다.
데이터기술 자문 및 지원: datacook.org 강세종, 안광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