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www.qut.edu.au/creative-industries/about/events/event?news-id=148423
The modified new version of “BreatheOut” was exhibited at QUT biennial event, Robotronica 2019. In this version, I added a new sensor that resemble a Calla lily flower to allow the audience to mix the data visualization with the live Brisbane air data. By breathing out to the flower planted in the living plant, the local Brisbane audience can add new particles that represent Brisbane PM 2.5 (Particle Matters) quality in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air quality status. For example, the large screen displays the current air quality of Seoul city, Gangnam-gu and the real-time air quality data from Brisbane CBD will get mixed with Seoul air in the screen by breathing out to the sensor.
작품 ‘BreatheOut (숨을 내쉬다)’의 그 두번째 버전이 작업 중에 2019년도 로보트로니카 비엔날레에 초청되었다. 전시회를 찾아오는 관람객들을 위해 웨어러블 대신 칼라릴리 모양의 센서를 제작해서 커다란 식물화분에 심었다. 거친 노출형 시멘트 벽면에는 서울시 오픈데이터사이트에서 가져온 실시간 미세먼지 데이터로 작은 먼지방울들이 공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색으로(그린, 오렌지, 핑크) 천천히 한방향으로 흐르듯이 움직이고 있다. 그 위에 호주 브리즈번 관람객들이 숨을 내쉬면, 브리즈번의 실시간 미세먼지 데이터의 수치가 색으로 적용되어 먼지방울로 화면의 파티클 이미지와 뒤섞이게 된다. 마치 비누방울을 불어서 넣듯이. 잠시 후, 숨을 내쉬어 불어넣은 현지 공기데이터의 방울들은 마치 공기속으로 사라지듯이 스크린에서도 사라진다.
(서울시 강남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데이터, 호주 퀸스랜드주 브리즈번 초미세먼지 데이터, DataCook)
The video file will be coming soon.
I enjoy all your posts. You have done really good job